좋은시

신달자 가을 들

무명시인M 2023. 9. 12. 05:21
728x90
반응형
신달자 가을 들.

신달자 가을 들. 가을 들판처럼 살아가자.

가을 들

/신달자

삼천 번을 심고 추수하고
다시 삼천 번을 심고 추수한 후의
가을 들을 보라
 
극도로 예민해진 저 종이 한 장의 고요
바람도 다소곳하게 앞섶 여미며 난다
실상은 천년 인내의 깊이로
너그러운 품 넓은 가슴
 
나는(飛) 것의 오만이
어쩌다 새똥을 지리고 가면
먹물인가 종이는 습자지처럼 쏘옥 빨아들인다
 
이런 넉넉한 종이가 있나
다 받아 주는데도 단 한 발자국이 어려워
입 닫고 고요히 지나가려다
멈칫 서 떨고 있는 초승달. 🍒
 
❄출처 : 신달자 시집, 『종이』, 민음사, 2011.
 

🍎 해설

광화문글판이 2023년 가을을 맞아 새롭게 단장했다. 이번 광화문글판 가을편은 신달자 시인의 시 ‘가을 들’에서 가져왔다.
 
이 시는 가을 들판처럼 살아가자는 의미를 담았다. 가을걷이가 끝난 뒤 빈 들판은 모든 걸 새롭게 키워낼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다. 마치 종이의 여백과 같다. 언제나 더 나은 다음을 기약하는 가을 들판처럼 끊임없이 비우고, 채우는 충실한 삶을 살아가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 시는 가을 들판을 종이에 빗대었다. “이런 넉넉한 종이가 있나”라고 하면서 가을 들판의 모든 것을 품에 안는 너그러움을 은유한다. 마치 종이의 여백처럼 앞으로의 무한한 가능성을 은유하고 있다. 추수가 끝난 뒤 아쉬움보다는 ‘새 들판을 얻었다’고 뿌듯해하는 농부의 뒷모습도 아른거린다.
 
종이책은 수명이 다했다고 전자책에 길을 내주라고 말하는 요즘의 디지털 시대에 시인은 아날로그의 감수성을 강조한다. 그는 종이라는 시집을 냈다. “종이 시집을 내 보는 것이 오랜 꿈이었다. 그런데 종이가 사라진다는 목소리가 커져 갔다. 종이가 죽었다는 말도 나왔다. 마음이 급해졌다. 문명은 나를 편안하게 했지만 그만큼 정신은 삭막해졌다. 나는 인간의 선한 본성, 그 아름다움에 종이라는 사물을 대면시켜 보고 싶었다. 따뜻함, 영원함, 영성적 노동, 가득함, 화합, 평화, 사랑, 모성, 순수, 고향, 우직함, 이런 충돌 없이 잘 섞이는 감정의 물질들을 하나의 원소로 종합한 것을 ‘종이’로 표현하고 싶었다.” 그의 말이다.
 
모든 것을 종이로 보는 데에는 다소 무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다만 이 시집은 인간의 따뜻한 본성을 그리워하고 그 본성을 되찾아 보려는 한 톨의 씨앗”이라는 말처럼, 시인의 인간 본성의 따뜻함에 대한 믿음만은 공감이 간다. 모든 것이 빨라지기만 하는 시대, 맨눈이 아니라 스크린으로 세상을 보는 이 시대는 종이가 필요하다. 인간의 향기가 필요하다. 아날로그적인 감수성과 인간성이 필요하다.

반응형

삼천 번을 심고 추수하고
다시 삼천 번을 심고 추수한 후의
가을 들을 보라
 
이런 넉넉한 종이가 있나.

삼천 번을 심고 추수하고
다시 삼천 번을 심고 추수한 후의 가을 들을 보라
너그러운 품 넓은 가슴. 사진은 교보생명 제공.
이런 넉넉한 종이가 있나
반응형

'좋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동주 소년  (0) 2023.09.19
박목월 사투리  (0) 2023.09.18
반칠환 한평생  (0) 2023.09.11
노천명 가을날  (0) 2023.09.10
박노해 가을볕이 너무 좋아  (1) 2023.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