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3 5

김동명 내 마음은 호수요

내 마음은 호수요/김동명내 마음은 호수요그대 노 저어 오오나는 그대의 흰 그림자를 안고옥같이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리다 내 마음은 촛불이오그대 저 문을 닫어주오나는 그대의 비단 옷자락에 떨며고요히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타오리다 내 마음은 나그네요그대 피리를 불어 주오나는 달아래 귀를 기울이며호젓이 나의 밤을 새이오리다 내 마음은 낙엽이오잠깐 그대의 뜰에 머무르게 하오이제 바람이 일면나는 또 나그네같이외로이 그대를 떠나오리다 🍒 ❄출처 : 1937년 6월 『조광』에 발표되었고, 1938년에 발간된 김동명의 제2시집 『파초』에 수록되었다. 🍎 해설이 시는 다양한 비유와 적절한 어조를 활용하여 사랑의 기쁨과 애닲음을 감미롭게 노래한 서정시다. 시인은 각 연에서 자신의 마음을 은유법을 활용하여 네 가지..

좋은시 2025.03.30

변영로 논개

변영로 논개, 언제나 감동을 주는 대표작인 항일시.논개/변영로거룩한 분노는종교보다도 깊고불붙는 정열은사랑보다도 강하다. 아, 강낭콩 꽃보다도 더 푸른그 물결 위에양귀비 꽃보다도 더 붉은그 마음 흘러라. 아리땁던 그 아미(蛾眉)높게 흔들리우며그 석류 속 같은 입술죽음을 입맞추었네. 아, 강낭콩 꽃보다도 더 푸른그 물결 위에양귀비 꽃보다도 더 붉은그 마음 흘러라. 흐르는 강물은길이길이 푸르리니그대의 꽃다운 혼(魂)어이 아니 붉으랴. 아, 강낭콩 꽃보다도 더 푸른그 물결 위에양귀비 꽃보다도 더 붉은그 마음 흘러라. 🍒 ❄출처 : 변영로 시집, 『조선의마음』, 평문관. 1924. 🍎 해설변영로 시인이 일제 치하인 1922년 3월 《신생활》지에 발표한 이 시는 20년대 전반기 한국 항일시의 정상을 보여 주는..

좋은시 2025.03.28

변영로 봄비

변영로 봄비. 서정성, 음악성이 출중한 항일시.봄비/변영로나즉하고 그윽하게 부르는 소리 있어나아가 보니, 아, 나아가 보니졸음 잔뜩 실은 듯한 젖빛 구름만이무척이나 가쁜 듯이, 한없이 게으르게푸른 하늘 위를 거닌다.아, 잃은 것 없이 서운한 나의 마음! 나즉하고 그윽하게 부르는 소리 있어나아가 보니, 아, 나아가 보니아렴풋이 나는 지난날의 회상같이떨리는 뵈지 않는 꽃의 입김만이그의 향기로운 자랑 앞에 자지러지노라!아, 찔림 없이 아픈 나의 가슴! 나즉하고 그윽하게 부르는 소리 있어나아가 보니, 아, 나아가 보니이제는 젖빛 구름도 꽃의 입김도 자취 없고다만 비둘기 발목만 붉히는 은실 같은 봄비만이소리도 없이 근심같이 나리누나!아, 안 올 사람 기다리는 나의 마음 🍒  ❄출처 : 변영로 시집, 『조선의마음..

좋은시 2025.03.27

김명인 동두천 1

김명인 동두천 1. 일종의 상처와도 같았던 도시 동두천을 다시 생각해 본다.동두천 1/김명인기차가 멎고 눈이 내렸다 그래 어둠 속에서번쩍이는 신호등불이 켜지자 기차는 서둘러 다시 떠나고내 급한 생각으로는 대체로 우리들도 어디론가가고 있는 중이리라 혹은 떨어져 남게 되더라도저렇게 내리면서 녹는 춘삼월 눈에 파묻혀 흐려지면서 우리가 내리는 눈일 동안만 온갖 깨끗한 생각 끝에역두(驛頭)의 저탄 더미에 떨어져몸을 버리게 되더라도배고픈 고향의 잊힌 이름들로 새삼스럽게서럽지는 않으리라 그만그만했던 아이들도미군을 따라 바다를 건너서는더는 소식조차 모르는 이 바닥에서 더러운 그리움이여 무엇이우리가 녹은 눈물이 된 뒤에도 등을 밀어캄캄한 어둠 속으로 흘러가게 하느냐바라보면 저다지 웅크린 집들조차 여기서는공중에 뜬 신기루..

좋은시 2025.03.12

오일도 내 소녀

오일도 내 소녀. 독자가 완성하는 짧은 명시.내 소녀/오일도(吳一島)빈 가지에 바구니 걸어놓고내 소녀 어디 갔느뇨. .......................박사(薄紗)의 아지랭이오늘도 가지 앞에 아른거린다. 🍒 ❄출처 : 오일도 창간, 『시원(詩苑)지』, 1935년.  🍎 해설‘박사(薄紗)’: 비단(生絹)으로 얇게 짠 옷감. 1930년대에 이토록 짧은 서정시가 창조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봄. 산나물을 캐러 온 소녀, 바구니만 나뭇가지에 걸리고 소녀는 보이지 않는 공간이다. 점선은 이 소녀에 대한 행방을 독자의 상상에 맡기는 표현이다.  아지랑이가 오늘도 나뭇가지 앞에 그냥 아른거리고 있다.누구에게나 있어왔던 `내 소녀`. 그 내 소녀는 지금 어디서 뭘하고 있다는 말이냐? 독자가 직접 마음 속..

짧은 시 2025.03.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