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 강점기 하, 유랑의 길을 걸었던 우리 민족의 비애감을 형상화.길/김소월어제도 하룻밤나그네 집에까마귀 가왁가왁 울며 새웠소. 오늘은또 몇 십 리어디로 갈까. 산으로 올라갈까들로 갈까오라는 곳이 없어 나는 못 가오. 말 마소, 내 집도정주(定州) 곽산(郭山)차 가고 배 가는 곳이라오. 여보소, 공중에저 기러기공중에 길 있어서 잘 가는가? 여보소, 공중에저 기러기열 십자 복판에 내가 섰소. 갈래갈래 갈린 길길이라도내게 바이 갈 길은 하나 없소. 🍒 ❄출처 :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매문사, 1925. 🍎 해설*바이: 전혀이 시는 목적지를 상실한 나그네의 비애를 소월 특유의 7,5조의 전통적 리듬과 소박하고 일상적 언어, 자문자답 형식의 대화체를 빌려 표현한 시이다. 날아다니는 새인 까마귀와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