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시

서정주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무명시인M 2023. 10. 12. 11:52
728x90
반응형
서정주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서정주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벼락치듯 나를 전율시킨 최고의 시 구절.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븬 가지에 바구니만 매여두고 내 소녀, 어디 갔느뇨 – 오일도(吳一島)

/서정주

아조 할 수 없이 되면 고향을 생각한다.
이제는 다시 돌아올 수 없는 옛날의 모습들. 안개와 같이 스러진 것들의 형상을 불러일으킨다.
 
귓가에 와서 아스라이 속삭이고는, 스쳐가는 소리들. 머언 유명幽明에서처럼 그 소리는 들어오는 것이나, 한 마디도 그 뜻을 알 수 없다.
 
다만 느껴지는 건 너이들의 숨소리. 소녀여, 어디에들 안재安在하는지. 너이들의 호흡이 훈짐으로써 다시금 돌아오는 내 청춘을 느낄 따름인 것이다.
 
소녀여 뭐라고 내게 말하였든 것인가?
오히려 처음과 같은 하눌 우에선 한 마리의 종다리가 가느다란 핏줄을 그리며 구름에 묻혀 흐를 뿐, 오늘도 굳이 닫힌 내 전정前程의 석문石門앞에서 마음대로는 처리할 수 없는 내 생명의 환희를 이해할 따름인 것이다.
 
섭섭이와 서운니와 푸섭이와 순녜라 하는 네 명의 소녀의 뒤를 따라서, 오후의 산그리매가 밟히우는 보리밭 새이 언덕길 우에 나는 서서 있었다. 붉고 푸르고, 흰, 전설 속의 네 개의 바다와 같이 네 소녀는 네 빛깔의 저고리를 입고 있었다.
 
하늘 우에선 아득한 고동소리, ……순녜가 알켜준 상제上帝님의 고동소리. ……네 명의 소녀는 제마닥 한 개씩의 바구니를 들고, 허리를 구부리고, 차라리 무슨 나물을 찾는 것이 아니라 절을 하고 있는 것이였다. 씬나물이나 머슴둘레. 그런 것을 찾는 것이 아니라 머언 머언 고동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는 것이였다. 후회와 같은 표정으로 머리를 수그리고 있는 것이였다.
 
그러나 나에게는 잡히지 아니하는 것이였다. 발자취 소리를 아조 숨기고 가도, 나에게는 붙잡히지 아니하는 것이였다.
 
담담히도 오래가는 내음새를 풍기우며, 머슴둘레 꽃포기가 발길에 채일 뿐, 쌍긋한 찔레 덤풀이 앞을 가리울 뿐 나보단은 더 빨리 달아나는 것이였다. 나는 부르는 소리가 크면 클수록 더 멀리 더 멀리 더 멀리 달아나는 것이였다.
 
여긴 오지 마……여긴 오지 마……
 
애살포오시 웃음 지으며, 수류水流와 같이 네 개의 수류와 같이 차라리 흘러가는 것이였다.
 
한 줄기의 추억과 치여든 나의 두 손, 역시 하눌에는 종다리 새 한 마리, -이런 것만 남기도는 조용히 흘러가며 속삭이는 것이였다. 여긴 오지 마…… 여긴 오지 마…….
 
소녀여, 내가 가는 날은 돌아오련가. 내가 아조 가는 날은 돌아오련가. 막달라의 마리아처럼 두 눈에는 반가운 눈물로 어리여서, 머리털로 내 손끝을 스치이련가.
 
그러나 내가 가시에 찔려 아퍼헐 때는, 네 명의 소녀는 내 곁에 와 서는 것이였다. 내가 찔렛가시나 새금팔에 베혀 아퍼헐 때는, 어머니와 같은 손까락으로 나를 나시우러 오는 것이였다.
 
손까락 끝에 나의 어린 핏방울을 적시우며, 한 명의 소녀가 걱정을 하면 세 명의 소녀도 걱정을 하며, 그 노오란 꽃송이로 문지르고는, 하연 꽃송이로 문지르고는, 빨알간 꽃송이로 문지르고는 하든 나의 상처기는 어쩌면 그리도 잘 낫는 것이였든가.
 
정해 정해 정도령아
원이 왔다 문 열어라
붉은 꽃을 문지르면
붉은 피가 돌아오고
푸른 꽃을 문지르면
푸른 숨이 돌아오고.
 
소녀여, 비가 개인 날은 하늘이 왜 이리도 푸른가. 어데서 쉬는 숨소리기에 이리도 똑똑히 들리이는가.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멫 포기의 싸거운 멈둘레꽃이 피여 있는 낭떠러지 아래 풀밭에 서서, 나는 단 하나의 정령精靈이 되야 내 소녀들을 불러일으킨다.
그들은 역시 나를 지키고 있었든 것이다. 내 속의 내리는 비가 개이기만, 다시 그 언덕길 우에 돌아오기만, 어서 병이 낫기만을, 그 옛날의 보리밭길 우에서 언제나 언제나 기대리고 있었든 것이다.
 
내가 아조 가는 날은 돌아오련가? 🍒
 
❄출처 : 서정주 시집,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미당 서정주 대표시 100선』, 윤재웅 엮음, 은행나무, 2014.
 

🍎 해설

*아조: 아주의 방언.
산그리매: 산그림자.
씬나물: 쓴나물. 씀바귀.
애살포오시: 살며시.
새금팔: 사금파리
멈둘래꽃 머슴둘레: 민들레의 방언.
나시우러: 낫게 해주러.
씨거운: 매우 쓴.
 
벼락치듯 나를 전율시킨 최고의 시 구절이 있다. 유명한 문정희 시인은 “10대 때는 ‘바람이 분다.살아봐야겠다’라는 발레리의 시와 함께 서정주의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를 아주 좋아했다.”고 회상했다.
 
서정주 시인의 제자이자 평생 서정주를 연구해 온 윤재웅 동국대 교수가 펴 낸 미당 대표시 100선 시집의 제목이 바로 이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였다.
그만큼 이 시의 제목은 한 편의 아름다운 시다. 동시에 수많은 시적 상상력을 불러 일으킨다.
 
부제목으로 쓰여진 시 구절은 다음과 같다.

내 소녀

/오일도

 

빈 가지에 바구니 걸어놓고

내 소녀 어디 갔느뇨.

.................................

.................................

 

박사(薄紗)의 아지랑이

오늘도 가지 앞에 아른거린다. 🍒

 
오일도(1901~1946) 시인의 짧은 시다. 봄나물을 캐러 온 그리운 소녀가 바구니만 나뭇가지에 걸어놓고 어딜 갔을까?
 
이 두 시는 유소년 시절의 순정의 그리움이 환각적으로 표현된 낭만적인 서정시다. 특히 서정주 시인의 시는 끝도 없이 변화무쌍하며 매력적이며 아름답다.
 
누구에게나 아련하나마 그런 소녀는 있을 것이다.
그런 소녀, 또는 그런 소년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당신의 별명은 아마도 ‘목석같은 사내’ 또는 ‘목석같은 여자’일 것이다.

반응형

소녀여, 비가 개인 날은 하늘이 왜 이리도 푸른가. 어데서 쉬는 숨소리기에 이리도 똑똑히 들리이는가.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내가 아조 가는 날은 돌아오련가?

소녀여, 비가 개인 날은 하늘이 왜 이리도 푸른가.

어데서 쉬는 숨소리기에 이리도 똑똑이 들리이는가.
무슨 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
내가 아조 가는 날은 돌아오련가?
반응형

'좋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석남 입춘 부근  (2) 2023.10.14
나태주 가을 안부  (0) 2023.10.13
김남조 시계  (4) 2023.10.11
나희덕 소풍  (4) 2023.10.10
윤보영 그리움을 말한다  (0) 2023.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