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배 좋은 시 냉이꽃. 우리 들녘에 냉이꽃은 지천으로 많다. 냉이꽃 /이근배 어머니가 매던 김밭의 어머니가 흘린 땀이 자라서 꽃이 된 것아 너는 사상을 모른다 어머니가 사상가의 아내가 되어서 잠 못 드는 평생인 것을 모른다 초가집이 섰던 자리에는 내 유년에 날아오던 돌멩이만 남고 황막하구나 울음으로도 다 채우지 못하는 내가 자란 마을에 피어난 너 여리운 풀은. ❄출처 : 이근배, 냉이꽃, 불은 언제나 되살아난다, 창작과비평사, 2002. 🍎 해설 우리 들판에 냉이꽃은 지천으로 많다. 생명력이 아주 강하다. 시인은 자신이 자란 마을의 냉이꽃을 관찰한다. 냉이꽃은 김밭에 엎디어 김을 매던 어머니가 흘린 땀이 자라 핀 꽃이다. 사상가의 아내인 어머니는 뜬 눈으로 밤을 지새우셨다. 냉이꽃 너는 모르지만 나는 ..